교양과 상식

溫泉을 利用한 健康管理

Edwin Kang 百祥 2006. 7. 7. 16:24
4951

 

 

1. 온천의 分類

온천은 크게 火山源(Volcanic)과 非火山源(Nonvolcanic Origin)으로 大別됩니다. 화산원은 일본의 온천과 같이 화산에 직접 근원을 두고 있으며, 비화산원은 우리나라의 온천과 같이 深部熱源(심부열원)에 의한 단순한 天水(Meteoric Water)의 가열 순환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鑛泉(광천)은 泉水中의 용존화학성분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온천은 泉水의 온도에 근거하여 定義한 것입니다. 따라서, 온천에는 온도가 높은 것도 있으며, 온도가 낮은 冷鑛泉(냉광천)도 있습니다. 과학적인 정의는, 지하에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생긴 열과 마그마에 의하여 따뜻해진 지하수 그리고 마그마수를 포함한 지하에서 용출되는 熱水를 의미합니다.


가) 온천수의 泉質에 의한 分類

01. 단순온천(Simple Waters Spring).

02. 단순탄산천(Simple Calbonated Spring).

03. 중탄산 토류천(土類泉-Earthy Calbonated Spring).

04. 중조천(重曹泉-Sodium Bicarbonated Spring).

05. 식염천(食塩泉-Common Salt Spring).

06. 황산염천(黃酸塩泉-Sulphate Spring).

07. 철천(鐵泉-Iron Spring).

08. 명향천(明嚮泉-Alum Spring).

09. 유황천(硫黃泉-Sulfur Spring).

10. 산성천(酸性泉-Acid Spring).

11. 방사능천(放射能泉-Radioactive Spring)으로 분류합니다.


나) 水素이온농도(Ph)에 의한 分類

01. 강산성천(强酸性泉-Strong Acid Spring)─ Ph 〈 2

02. 산성천(酸性泉- Acid Spring)─ 2 ≤ Ph 〈 4

03. 약산성천(Weak Acid Spring)─ 4 ≤ Ph 〈 6

04. 中性泉(Neutral Spring)─ 6 ≤ Ph 〈 7.5

05. 약알카리성천(Weak Alkaline Spring)─ 7.5 ≤ Ph 〈 9

06. 알카리성천(Alkaline Spring)─ 9≤ Ph 로 분류합니다.


다) 삼투압(滲透壓)에 의한 分類

1. 저장천(低張泉-Hypotonic Spring) : 온천수 1㎏ 중의 고형물질의 총량이 8g이하이고, 氷點이 -0.55°C 이상에 속하는 것.

2. 등장천(等張泉-Isotonic Spring) : 온천수 1㎏ 중의 고형물질의 총량이 8g이상 10g미만이고, 氷點이 -0.55 ~ -0.58°C에 속하는 것.

3. 고장천(高張泉-Hypertonic Spring) : 온천수 1㎏ 중의 고형물질의 총량이 10g이상이고, 氷點이 -0.58°C 이하에 속하는 것.


라) 긴장도(緊張度)에 의한 分類

임상 의학상 긴장도에 따라 온천수가 인체에 작용하여 느낄 수 있는 척극(刺戟)에 의해 수화성(綬和性-단순온천, 식염천, 중조천, 망초천(芒硝泉), 방사능천)泉과 긴장성(緊張性 -산성천, 유황천, 단순탄산천, 탄산철천, 녹향천(綠嚮泉), 명향천(明嚮泉), 탄산토류천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2. 온천의 화학성분

온천의 화학성분은 온천지역의 구성, 암석지질, 水理關係, 지질구조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가) 陰이온

1. 황산이온(S + H²(가스) = H2S 또는 FeS + H2O +H2S(가스)

2. 염소이온

①석화천(CaCO3 +H2SO4 = CaSO4 + H2O + CO2)

②망초천(CaSO4 + 2NaCℓ = Na2SO4 + CaCℓ2)

3.이온

水溶性(2CaCO3(고체) + H2 = 2Ca(HCO3)2


나) 陽이온 : 黃鐵石 →黃酸鐵 →水酸化鐵 →酸化鐵 →黃鐵石


다) 수소이온농도(Ph)

1. 중성 :함유량이 일 때.

2. 알카리성 :함유량이 7이상일 때.

3. 산성 : 함유량이 7이하일 때.

 

 

3. 음용방법

우리나라에서는 온천수를 마시는 습관이 아직까지 없어, 온천수의 음용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온천수의 음용이 상당히 성행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온천수의 음용은 조석으로 공복에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한번 마시는 양은 100CC정도가 좋으며, 심장병, 고혈압, 신장병 환자들에게는 금물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물의 화학구조는 H2O로 표시되고 있는데, 물 전체의 구조가 6각형 고리 모양을 유지하는 물을 음용에 사용함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이 6각형 고리모양을 유지하려면, 10℃에서는 3~4%, 0℃~4℃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6각형 고리의 구조를 유지한다고 전합니다. 바로, 이러한 최적의 광천수를 음용 할 것을 권고 하고자 합니다.


4. 입욕방법

하루에 1~2회가 적당하고, 3회까지는 허락이 되나, 그 이상은 삼가 하여야 합니다. 하루의 마지막 입욕은 취침 전에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입욕시간도 각자에 따라 차이가 있겠고, 또 목욕물의 온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10~15분이 적당하고, 한번에 20~30분 이상은 안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더욱이 욕탕 속에서 잠을 잔다든가 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합니다.


목욕의 온도는, 각자의 열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나선호도에 따라 다르지만, 38~42℃정도가 적당하며, 42℃이상의 고온욕은 신체를 단련하는 의미에서나 또는 신경통을 치료하는 목적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다만, 심장병, 고혈압, 노이로제, 당뇨병 등 환자에게는 좋지 않습니다.


고온욕에서는 입욕시간을 더 짧게 하여야 합니다. 온천성분이 피부를 통한 체내 흡수도(하이드로 탄산)는 온천욕의 횟수에 따라 연차 감소하고, 또한 온천 척극(刺戟)에 대한 생체 반응도 점점 둔화되기 때문에 무작정 오랫동안 온천장에 체류하는 것도 의미가 없고, 그 효과도 점차 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 강석원 씀]